'살신부화 심해문어'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5.03.17 [테드] 문어 Octopus’s garden: A TED Fellow with a radical approach to saving fisheries [TED]

 

[테드] 문어 Octopus’s garden: A TED Fellow with a radical approach to saving fisheries [TED]

http://blog.ted.com/ted-fellow-alasdair-harris-and-his-radical-approach-to-saving-fisheries/

 

네이버를 켰는데, 메인에 걸려있는 기사가 아래와 같다.

 

심해문어 ‘살신부화’ 모성, 안 먹고 알 4년반 동안 품어

수심 1400m서 우인잠수정으로 추적 관찰 결과, 동물 가운데 최장기 포란

알 적게 낳고 최대한 키워 생존율 높이려는 전략…어미는 유령처럼 초췌해져

http://ecotopia.hani.co.kr/247615

 

문어하면, 난 아무래도 바닷가 출신인지라 없어서 못먹지만, 누군가는 징그러워하고 쳐다보기도 싫어하는 그런 생물이고 음식이기도 한데, 요 문어가 '살신부화'의 모성을 가졌다니, 담에 문어 숙회 먹을 때는 문어에게 고마운 마음을 한번은 표현하고서 먹어야 겠다...

 

흐음..

 

예전에 까마귀 보고 재수 없다, 그러면, 누군가가 까마귀가 그렇게 효심이 많은 새라고 까마귀 구박하지 마라고 했었는데, 그게 어떤 책에서 본건지, 지나가다 신문에서 본건지 가물 가물 기억은 나지 않지만..

 

아,, 반포지효 이구나... 反哺之孝

http://cafe.naver.com/edtoy/5939

 

[취재후] 국내 최대 까마귀 월동지, 울산 태화강

http://news.kbs.co.kr/news/NewsView.do?SEARCH_NEWS_CODE=2968466&ref=A

 

위 링크는 참조, ㅎㅎㅎ 까마귀가 울산태화강 대나무숲을 좋아라 한다네요.. 으이그, 이것들! 열심히, 조심히, 별 탈 없이 잘 살으렴..

 

그럼, 다시 문어로 돌아가서, 내가 음식으로서도 좋아하고, 그냥 뭐 보는 것도 좋아라 하긴 하지만, 문어! 그래서 테드 TED 에서 문어에 대해서 한번 찾아봄..

 

optopus..  deepsea ..

 

이상하다.. 문어 관련 영상은 분명히 있을 것 같은데, 왜 없을까? 하고 계속 처보다가, 흠 없나? 하고 다시 보니,, ㅎㅎㅎ 요즘 30대가 넘어서 그런지,, 기억이 잘 나지 않는 것이, 문어에도 영향을 미쳐서,,, 계속 optopus 라고 치고 있었다.

 

오노.. 나이 들면 메모장을 가지고 살아야지 원..

 

여튼 다시 octopus 치니깐, 역시 많이 나온다. 영상..ㅎㅎ 아니네, 블로그가 많이 나오는구나.. 많이는 아니고, 몇개 나오는 구나.. 그 중에,

 

흠 그래도, 조금이나마 비슷한 문어 관련 블로그 링크!

 

Octopus’s garden: A TED Fellow with a radical approach to saving fisheries

http://blog.ted.com/ted-fellow-alasdair-harris-and-his-radical-approach-to-saving-fisheries/

 

위 링크 클릭하면, 기린이 저자에게 키스(?) 혹은 그냥 얼굴 맛(?) 보는 그런 사진이 있는데, 이 분은 생물 다양성을 위해서 단지 바다속을 탐사하고 이를 일반 대중에게 알리기 보다는, 실천적으로, 해변가의 지역사회에서 그 지역의 해양생물과 지역사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그런 벤처를 운영하면서, 실제적으로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방안들을 모색하는 그런 활동을 하는 분인가 보다.

 

비전을 만들고 이를 전달하기 보다는 차라리, "논쟁과 토론을 통해서 생각의 공유를 실천할 수 있는 장을 만드는 것이 혁신하는 방법이다" 라고 라따뚜이 만들어 지던 과정을 통해서 설명하시던 린다교수님이 생각나는 구만.. ㅎㅎ 관련해서는 아래 확인.

 

 

2015/03/16 - [테드 영상 / 추천 / TED / 영어 / 영상 ] - [테드] 혁신, 창의력 / how to manage for collective creativity [TED]

 

여하튼, 다시 Alasdair 님의 기사로 돌아가자면,

 

How did Blue Ventures get started?

2000년도에 Zoology 를 공부하던 중에 바다속의 열대우림과 같은 해초들이 훼손되어 가는 것에 대해 배우고서는, 이에 대해서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까 생각하다가,, Blue Venture 를 창업했다고 한다. 해양생물학자들의 호기심등에 의해 해양생물종의 멸종을 막는 등의 노력과 비교해서, 열대지방의 해초들의 멸종을 막는 것은 좀더 인류의 생존에 밀접한 부분이기 때문에, 더 관심을 가져서,,

 

첫 과정으로,,의례 모두가 하듯이, 펀딩을 통해, 해초의 분포에 대한 지도를 만들었는데, 이는 결국 아무런 실제적인 도움이 되지 못함을 깨닿고는, 해양보호 활동에 있어서, 대중의 이해를 돕고, 책을 발간하는 등의 실제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 활동이 아닌, 어떤 일을 하기 위해,,

 

여름이면, 코모로스나 탄자니아 마다가스카르에서 바를 운영하고 옥스퍼드와 에딘버러에서 펀딩을 하면서, 준비하던 중, 마다가스카라에서의 2002년 선거 후 환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 되었을 때, Blue Venture 를 창업하고,,

 

Why did you decide to set up a tourism business to fund conservation programs, rather than just start a conservation organization?

 

아이디어는 있지만, 펀딩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없는 23살 청년이 할 수 있는 것은, 창업이었고, 이제까지 겪어온 과정을 통해 해양과 새로운 문화, 그리고 보존을 통해 바뀐 변화를 보는 것은 큰 기회가 될 수 있을 거라는 생각에, 500파운드로 창업!

 

이후에는 우리의 프로그램에 수백면의 봉사자들이 참여하고, 이들은 같이 잠수를 하며, 해양의 데이터를 모으고, 조사활동 들에 참여하고, 또한 조직의 운영을 위한 재정적인 도움도 받으며,

 

창출되는 이익은 모두 보존 프로그램을 위해 재투자 하며, 이는 우리가 사회적기업으로서 사회에 공헌하는 방법이며, 이후 마다가스카라 외에도, 말레이시아, 피지, Belize 에도 프로그램을 진행하려 하고 있다.

 

How does the tourism enterprise work? 

 

지원자에게 6주간의 스쿠버 과정, 해양과학, 해양조사 등에 대해 집중적인 교육을 시키고, 보존스탭으로서 일을 하게 된다. 그리고 우리와 같은 가치를 공유한 세계의 2,000여 석학들과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진행한다.

 

Your view of marine conservation today must have been very different 11 years ago.    

 

기업으로 접근해보니, 전통적인 환경보전 모금방법은 그 한계가 매우 명확했고, 어류 남획을 막고, 해양생태계를 재건하기 위해서, 과학자들은 바다의 30%가 보존지역이 되어야 한다고 한다.

 

하지만 30%의 목표에 도달하기에는,

첫째, 이 보존지역들이 지원자나 정부의 단기적인 시각에 의해 결정되며, 그 지역을 보존하기 위한 지속가능한 재정지원을 얻기는 힘들다. 이는 규모의 문제이며, 이를 모두 실행하기는 어려우므로 1%의 지역이라도 확실히 보존하는 것이 최선이며, 해양보존을 위한 의미있는 규모의 재정지원은 아직 없다.

둘째, 이러한 보존활동은 종종 하향전달식으로 특정한 정부나 외부조직에 의해 이루어지며, 실제 바다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의견은 반영이 되지 않고 있다. 종종, 해양보존은 그들의 생존을 위해 바다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것처럼 보여지기도 하는데, 그 결과 보존활동은 그들의 삶을 위해 바다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소외감을 느끼게 만들기도 한다. 그 결과 그들이 보존활동의 반대 활동을 위해 큰 관심을 가지기도 한다. 물론 나는 이에 대해 간단한 방법을 만들고 있지만, 우리가 이 지역사회와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없다면, 지속가능하고 영향력있는 해양 보존활동을 할 수 없다.

하지만, 이 역설은 다시 보자면, 우리에게 기회가 될 수 있다. 우리가 보존으로 부터 확실히 의미있는 방법을 정의할 수만 있다면, 우리는 과학자보다 해양에 대해 훨씬 박식한 어촌사회를 움직일 수 있으며, 그 30%를 지키기 위한 우리의 노력을 지속할 수 있다. 우리가 보존활동을 어촌지역사회를 위해 한다면, 우리는 우리의 해양을 지킬 수 있다.

 

우리는 이러한 유인을 정의할 수 있도록 빨리 움직여야 하며, 그럴 경우 현재의 해양생물감소기조를 줄일 수 있다는 약간의 희망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이 블루벤처가 하는 일이다.

 

In order to do that, you’ve developed a variety of conservation models on top of your tourism enterprise. Can you tell us about a few?

 

금어기가 중요 포인트인데, 가난한 어촌에 이를 강요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필요한 것은 어류저장고이다.

 

우리의 첫번째 일이, 다리 여덟개의 문어와 함께 시작됬다. Our earliest work started with an unlikely eight-legged ally — the octopus

 

---------- 잠깐 ------------

흐미, 문어에서 시작해서, 어쩌다 이렇게 해양생태계보존을 위한 블로그 까지 왔는지.. ㅎㅎㅎ 어쨋든 드디어 문어가 나왔다. 테드 TED 검색창에 문어 octopus 를 넣었을 때, 떳던 이글에서 문어잡이를 어떻게 해양보존과 연결 시켰는지는 이제 다시 더 읽어 봐야지.. ㅎㅎㅎ :-) 참, 저는 이래뵈도 5년이상 녹색연합 후원하는 사람이랍니다. 혹시라도 이글을 여기까지 보신 분 있으시다면, 녹색연합 후원을 같이 해보아요! 링크는 아래!

 

http://www.greenkorea.org/

 

----------- 잠깐 끝 ------------

 

이는 인도양의 많은 어촌에서 문어에 많이 의존하는 데서 착안되었다. 그들은 문어를 지역상인에게 파고 지역상인은 이를 세계 각지로 수출을 한다. 예를 들자면, 마다가스카라의 어촌 여인들은 이태리의 수익성 좋은 해산물과 관련이 있다. 문어는 빨리, 매우 빨리 자라고, 빨리 죽으므로, 재생을 위해 가장 좋은 대상이다. 마다가스카라의 해초문어 Reef Octopus 는 18달만에 쑥쑥 자라고, 몇백그램에서 2, 3달만에 몇 킬로그램으로 자란다. 그래서, 만약 문어를 kg단위로 결제한다면, 문어를 몇달간 해초에서 더 크도록 놓아주는 큰 요인이 된다.

 

그래서 10년전에 마다가스카라 문어잡이에 아주 짧은 금어기를 가졌다. 200헥타르에 6개월간의 금어기를 가지고, 다른 지역에서 어로행위를 했었다. 이후 금어기가 끝나고 그 지역에 문어를 잡았을때, 이제까지 보았던 어떤 문어보다도 큰 문어를 잡았다. 이후에 다른 지역에서도 이 방법을 따라 했고, 10년에 걸쳐서 수백킬로미터의 해안으로 퍼졌다. 이 아이디어는 국경을 넘어 새로운 어로정책을 격려했다. 이는 다른 어종에도 적용되었고, 가장 최근에는 다른 해양의 게와 랍스터 crabs lobster 에도 적용되었다.

 

더 놀라운 점은 이들 지역사회에서 지금은 보전활동에 대해서 더 큰 관심과 열망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10년전에는 상상도 못했던 일이며, 우리는 이를 전세계의 어촌사회에 이 경험을 나누려고 하고 있다. 외부 환경보전자들 보다는, 그들의 필요성을 강조할 수 있는 어부들을 통해 배우는 것이 점점 늘어 나고 있다.

 

우리는, 우리의 프로그램을, 보존을 위한 문을 제공하도록 지속적으로 새로운 방법을 찾는 연구실에 비유한다. 예를 들자면, 우리는 어부들을 다양하게 경제적으로 도울 수 있는 수출을 위한 sea cucumber 나 sea weed 등의 바다농장을 만들게 한다. 또한 탄소배출권 마켓 carbon market 을 통한  mangrove forests- 지구상 어떤 숲보다도 빨리 살아지고 있는 중요한 해양생태계- 보존을 위한 방법을 찾기도 한다. 또한 아프리카의 소규모 어촌을 위한 Eco labeling 을 구상하기도 한다.

 

How is reproductive health related to marine conservation?

 

이부분은 그냥,,, reproductive health 도 지역 어촌의 삶의 질 향상과 해양보존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도 중요함을 언급.

 

All this must take a lot of manpower. How are you organized?

 

현지화!

 

How does fisheries management in a place like Madagascar compare to the UK’s?

 

환경보전에 대한 인식이 더 높아져야 된다, 뭐... 그런..

 

Does your work attract controversy from the scientific “establishment?”

 

협력하고 더 좋은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뭐 ,, 그런,,

 

What is your ultimate message?

 

ㅎㅎ

결론은 직접 읽어봐요!! ㅋㅋ

 

---------------------

아, 오늘도 문어로 시작해서 해양보존으로 끝나는구만.. 기승전"해양보존".

그런데, 참, 해산물 좋아하는 한 사람으로써, 후쿠시마 원전도 참 안타깝고, 뭐, 참, 그런데,,

 

이런 Alasdair 님같은 분이 나와서 어쨋든, 전체 바다 중 아주 적은, 일부 지역이지만, 해양자원도 보존하면서, 어촌의 삶의 질도 향상되는 그런 실제적인 지원을 하는 그런 사람이 많았으면 좋겠다.

 

저런 사람들이 꾸준히 나오는 걸 보면, 정말, 선진국은 선진국이구나.. 부럽!

 

[테드] 문어 Octopus’s garden: A TED Fellow with a radical approach to saving fisheries [TED]

http://blog.ted.com/ted-fellow-alasdair-harris-and-his-radical-approach-to-saving-fisheries/

 

 

'15.03.17. Gary

 

Posted by 하루한권